“나도 가입해서 1,200만 원 만들 수 있을까?”
청년들의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해 마련된 제도인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가입 조건만 맞는다면 누구에게나 큰 도움이 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실제 신청자 입장에서 본 후기 중심으로, 조건·절차·주의사항을 모두 정리해 드릴게요.
🧾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근로하고 있는 저소득 청년이 월 10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,
정부가 최대 36만 원까지 매칭해주는 자산형성 지원 사업입니다.
총 3년간 정부 지원 포함 시 최대 수령 가능액: 약 1,440만 원
(본인 저축액 360만 원 + 정부지원금 + 이자)
✅ 가입 조건 (2025년 기준)
구분 | 조건 |
연령 | 만 19~34세 |
개인소득 | 근로·사업소득 月 50만 원 이상 200만 원 이하 |
가구소득 |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|
가구 재산 | 대도시 2억, 중소도시 1.7억, 농어촌 1.5억 이하 |
기타 조건 | 지원금 수령 위해 매월 저축 필수, 교육 이수 및 자금사용계획서 작성 필요 |
👣 신청 절차는 이렇게 진행돼요
- 복지로 사전신청
👉 복지로 청년내일저축계좌 바로가기 - 소득·재산 심사 (약 2개월 소요)
- 계좌 개설 승인 및 안내 문자 수신
- 지정 계좌에 매달 10만 원 저축 시작
- 연 1회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+ 3년간 유지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index.do
www.bokjiro.go.kr
💬 실 신청자 생생 후기 모음
👩🎓 후기 1: “첫 직장인데, 통장 잔액이 쌓이는 느낌!”
- 대학 졸업 후 취업하고 저축이 너무 힘들었어요.
그런데 이 계좌는 정부가 3배를 넣어주니 무조건 해야겠다 싶었죠.
매달 자동이체만 걸어놓고 잊고 지내도 되니까 너무 편해요.
👨🔧 후기 2: “소득 심사 통과가 가장 긴장됐어요”
- 제가 프리랜서인데, 소득 증빙이 조금 까다로웠어요.
세무사 도움 받아서 신고된 소득자료 제출했고, 다행히 통과했습니다.
신청 후 계좌 개설까지 2달 걸렸어요. 느긋하게 기다리셔야 합니다.
👩 후기 3: “자금사용계획서, 어렵지 않아요!”
- 인터넷 강의 한 번 듣고 자금사용계획서 쓰면 되는데,
양식이 딱 있어서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어요.
지원금 받으려면 꼭 제출하세요! 잊으면 손해입니다.
📌 자주 묻는 질문(FAQ)
- Q1. 중도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A. 지원금은 환수되고, 본인 저축액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- Q2. 매달 못 넣으면 어떻게 되나요?
A. 1~2회 정도는 유예 가능하지만, 계속 누락되면 자격 박탈될 수 있어요. - Q3. 다른 자산형성통장과 중복 가능한가요?
A. 청년도약계좌와는 중복 불가, 청년희망적금도 중복 불가입니다.
✅ 요약 정리
- 대상: 만 1934세 청년 중 근로·사업소득 월 50만200만 원
- 혜택: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최대 36만 원 추가 지원
- 수령 총액: 최대 1,440만 원 + 이자
- 주의사항: 자격 조건 유지 + 교육 이수 + 자금사용계획서 필수